에너지 블루는 윈도 xp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윈도 미디어 센터 에디션에 기본으로 포함되어 있는 테마이다. XP에 이것을 설치하여 미디어 센터 에디션처럼 꾸며보자.
참고: Energy Blue에 대한 Wikipedia의 설명(영문)

XP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루나(Luna)인터페이스와 비슷하여 혼동할 수 있는데, 잘 살펴보면 아래와 같은 차이점을 볼 수 있다. Energy blue가 더 세련된 느낌을 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Luna

사용자 삽입 이미지

Energy Blue


사용자 삽입 이미지

Luna

사용자 삽입 이미지

Energy Blue


이제 차이점이 눈에 들어올 것이다. 이것을 다운받으려면 Softpedia로 가면 된다.

참고로 시작버튼의 글씨를 'start'로 바꾸지 않았다면 시작버튼의 폰트가 별로 보기 좋지 않게 나옴을 볼 수 있다. 이땐 시작버튼의 글씨를 바꾸는 법을 참조한다.
Posted by Blog owner
,
gabbly.com에서는 우리가 접근할 수 있는 모든 웹페이지에 채팅창을 달아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방법도 간단해서, http://gabbly.com/www.naver.com 처럼 http://gabbly.com/뒤에 원하는 url을 치면 바로 그 사이트와 채팅창이 함께 나오므로 현재 페이지를 보고 있는 사람들과 실시간으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크기를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페이지 오른쪽 구석으로 밀어 넣을 수 있는 버튼과, 채팅창만 닫는 버튼을 제공하므로 웹서핑에 큰 어려움이 없다.

기능은 비록 미약하지만, 별다른 작업 없이 쉽게 채팅창을 개설할 수 있다는 것이 매력이다.
Posted by Blog owner
,
먼저 이 내용은 윈도 xp의 고전 테마에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실히 하자. 루나, 에너지 블루 등의 모던 테마에만 적용 가능하다. 글씨를 바꾸기 위해서는 윈도의 셸인 explorer.exe를 직접 고쳐야 하는데, 윈도가 이 파일을 보호하고 있으므로 바꾸는건 쉽지 않다. 하지만 다음 단계를 따라가다 보면 할 수 있다.

1. 먼저 Resource Hacker를 다운받아 적당한 디렉토리에 풀어 놓는다.
2. 리소스 해커로 C:\Windows\explorer.exe 를 연다.
3. String Table - 37 - 1042 로 가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을 것이다.
STRINGTABLE
LANGUAGE LANG_KOREAN, 0x1
{
578, "시작"
579, "내부 오류가 발생하여 사용 중인 창이 하나 닫혔습니다."
580, "제한 사항"
581, "이 작업은 시스템 제한 때문에 취소되었습니다.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590,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알림 아이콘을 감춥니다..."
591, "숨겨진 아이콘을 보려면 이 단추를 클릭하십시오."
}
위의 "시작"을 원하는 적당한 문자열로 치환한다. 앞으로 소개할 테마 때문인데 "start"로 바꿀 것을 추천한다.
4. Compile script 버튼을 누른다.
5.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다. (예: e.exe)
6. 재부팅하면서 F8을 눌러서 안전 모드 (명령 프롬프트 사용)으로 부팅한다.
7.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e.exe를 explorer.exe로 교체한다.
cd \windows (윈도 디렉토리로 접근)
ren explorer.exe explorer-original.exe (원래 explorer.exe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
ren e.exe explorer.exe (아까 만든 e.exe를 explorer.exe로 이름 바꿈)
shutdown -t 0 -r (컴퓨터를 즉시 리부팅하라는 명령)

여기까지 이상 없이 수행했다면 시작 버튼의 글씨가 바뀌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launch로 바꾼 모습

launch로 바꾼 모습


Posted by Blog owner
,





지역로그 : 태그 : 미디어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