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폰트'에 해당되는 글 4건
- 2009.05.17 많은 무료 트루타입 폰트를 소개하는 사이트 (영문)
- 2007.09.09 국내 신문사의 글꼴 3종 (동아닷컴 신문명조, 한겨레결체, 조선일보 명조체) 소개 3
- 2007.08.18 굴림체 대신 쓸 수 있는 폰트 다운받기
- 2007.08.13 공짜 글꼴 (아리따 글꼴) 직접 다운받기 1
흠이라면 ActiveX control을 깔아야 된다는 것과 글꼴만을 다른 용도로 쓸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도 이 액티브엑스 컨트롤은 믿을 만한 곳(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들었으며 가볍게 깔리는 편이다.

직접 찍은 동아닷컴 신문명조 글꼴 예제
동아닷컴의 글꼴 안내 페이지로 가기
여기부터는 아직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에서 배포한 글꼴에 대해 모르고 있는 사람을 위한 내용이다.
한겨레신문과 조선일보는 직접 다운받을 수 있는 글꼴을 제공한다. 화면에서 직접 보는 용도 보다는, 동영상 자막이나 프린트용 글꼴로 쓰는 게 더 보기 좋다.
한겨레결체는 탈네모틀 글꼴로서, 2.57MB의 용량이다.
예전에 소개한 아리따 글꼴처럼 링크가 깨질 위험을 대비해 직접 다운받을 수 있게 이곳에 올려놓았다. 수정, 판매 등을 하지 않으면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다고 한다. 원래 사이트에서 받아지지 않을 경우 내가 직접 올린 파일을 다운받으면 된다.
한겨레결체 소개 사이트, 원래 서버에서 한겨레결체 직접 다운받기

링크가 깨질 때를 대비해 직접 올린 파일
조선일보 명조체는 한자가 포함되어 있어 용량이 한겨레에 비해 훨씬 크다. (한글 11,172자, 한자 10,341자, 심벌 4,682자 등 총 26,195자) 이 폰트 역시 규정을 지키는 내에서 자유롭게 배포할 수 있다.
조선일보 명조체 소개 사이트, 원래 서버에서 조선일보 명조체 직접 다운받기

링크가 깨질 때를 대비해 직접 올린 파일
KLDP에서 알게 된 것. 네이버가 중국어 사전 지원을 위해 무료로 배포하는 네이버사전체 글꼴에 굴림체(가 아니라면 굴림체와 비슷한 글꼴?)가 한글 영역에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이 파일은 자동풀림 .exe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윈도에서만 사용 가능했는데, 누군가의 요청으로 리눅스용 .tgz 파일로도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리눅스 사용자들이 굳이 자신의 윈도 배포본에서 글꼴을 복사해 사용할 필요가 줄어들었다.
네이버사전체 다운받는 곳
2007-08-30 추가: 리눅스에서 윈도우즈처럼 글꼴 설정하기(KLDP)
알림: 이 글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다운로드는 페이지 맨 밑에서 하십시오.
보통 글꼴은 돈을 주고 사용해야 한다. 왜냐면 만드는 데 상당한 노력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처럼.) 우리가 쓰는 굴림체 바탕체 돋움체 등등도 사실은 마이크로소프트가 돈을 주고 샀기 때문에 맘껏 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개인이 만들어서 공짜로 배포하는 글꼴도 있다. 특히 영문은 알파벳이 26자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한글보다 훨씬 다양한 공짜 글꼴이 있다.)
하지만 기업이 자신의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위해(CI) 자발적으로 폰트를 만들어 배포하는 일이 있다. 현재 그 글꼴을 처음 배포한 홈페이지는 jsp 오류로 도배가 되어 있다. (쉽게 말해 닫혔다는 뜻)
그래서 이곳에 올려 놓는다.
(수정: 아리따SB 파일을 두 번 올려보았지만 파일 뒷부분이 잘리는 현상이 발견되어 압축해서 다시 올려 봄.)
다운받을지 말지를 결정할 사람들을 위해 스크린샷도 여기 올린다. cleartype 적용된 모습이다. (근데 사실 클리어타입 적용 안된 모습이 더 좋다)
이 글꼴은 아모레퍼시픽에서 제공한 것이다. 글꼴은 각 글꼴마다 독특한 개성이 있다. 이 글꼴을 알고 쓰는 사람이라면 이 기업을 기억할 것이므로 기업은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며, 각 개인은 공짜 글꼴을 쓸 수 있으므로 일거양득인 셈이다.
2008-07-04 수정 : 원래 사이트가 복구되었다. 글꼴 버전도 2.1로 업데이트되었다.
바로가기(새 창으로 열기)
또는 여기서 직접 다운받기:
2013-01-02 추가: 글꼴 버전이 3.0으로 업데이트 되었으며, 사이트의 주소가 다음으로 바뀌었다.
http://www.amorepacific.com/about/about_font.jsp
사이트가 닫힐 경우를 대비해 올리는, 직접 다운받을 수 있는 파일: